본문 바로가기

UXUI 교육내용 정리

[UXUI 입문 5주차] 디자인 원칙

🔎 게슈탈트 심리학

이미지를 인식할 때 주변에 있는 요소의 영향을 받는다.

 

▶ 유사성의 원리

  • 모양_모양이 유사하면 같은 그룹으로 보인다.
  • 크기_크기가 더 큰 개체가 저 중요해 보인다.
  • _같은 계열의 색이면 그룹으로 보인다.
  • 방향_특정요소의 방향을 바꾸면 그 요소끼리 그룹으로 보인다.
  • 유사성의 원리중 색상의 힘이 제일 강력하다.

근접성의 원리

  • 여백_가까운 것끼리 묶어 그룹으로 보인다.
  • 색상의 유사성보다 여백의 근접 관계가 더 강력하다.

폐쇄성의 원리

  • 공백이 있더라도 도형이나 형태로 인식 하려 한다.

연속성의 원리

  • 요소의 직선이나 곡선으로 이루어 진 것을 더 잘 인지한다.

공통성의 원리

  •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이 더 관련성 높다고 인지한다.

🔎 UX 비주얼 디자인 원칙

시각적으로 매력적인 이유를 근거를 들어 설명 가능하도록 도와준다.
UX 비주얼 디자인 원칙을 근거로 설계하면 심미적, 사용성을 높이고 몰입을 도와준다.


스케일

  • 상대적인 크기를 사용하여 중요도와 순의를 표시

▶ 시각적 위계

  • 크기, 색상, 간격, 배치 등을 통하여 중요 순서에 따라 시선의 흐름이 이동하도록 디자인
  • 2~3개 정도의 텍스트 크기를 사용(L, M, S)
  • 중요한 요소는 채도가 높고 색상 대비가 크게

▶ 균형

  • 디자인 요소간의 배열이나 비율
  • 대칭_안정적, 정적
  • 비대칭_역동적, 신선함
  • 방사형_시선을 중앙에 집중

▶ 대비

  • 눈에 띄게 구별하여 강조
  • 명암의 차이를 주거나 색상의 차이를 준다.

🔎 UX/UI 심리학 법칙

정량적, 정성적 데이터가 없는 초기 제품에 대한 의사결정의 근거가 되어준다.
명확한 이론적 근거를 바탕으로 주장할 수 있고, 팀원들을 설득할 무기로 활용할 수 있다.
사용자의 경험을 근원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다.

▶ 제이콥의 법칙

  • 제품을 사용함에 있어 기존의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작동하면 사용자의 목표달성이 수월해진다.
  • 스큐어모피즘 양식, 디지털 환경의 토글 스위치

▶ 피츠의 법칙

  • 사용자가 인터랙션해야 하는 대상은 사이가 좁고, 크기가 클수록 사용성이 좋다
  • 터지 최소 권장 규격(단위 : pt)
    • 애플의 HIG_44*44
    • 구글 머티리얼_48*48
    • WCAG 접근성 가이드_44*44
    • 닐슨노먼그룹_1*1cm

▶ 힉의 법칙

  • 사용자의 선택이 요구될 때 선택지가 많을 수록 시간이 늘어난다.
  • 복잡한 작업은 더 작은 단계로 나눈다.
  • 선택지를 최소화.
  • 추천 선택지를 강조해 사용자 부담을 줄인다.
  • 추상적으로 너무 단순화 하고 정보의 양이 적으면 역효과가 생긴다.

▶ 밀러의 법칙

  • 보통 사람은 작업 기억에 7(±2)개의 항목밖에 저장하지 못한다.
  • 정보를 적절히 덩어리로 만드는 것이 좋다(예시 : ㄷ, ㅓ, ㅇ, ㅇ, ㅓ, ㄹ, ㅣ 덩, 어, 리)
  • 정보의 그룹화
더보기

▶ 포스텔의 법칙
    - 자기 자신에게는 엄격하고, 남의 것을 받아들일 때는 너그럽게 해야 한다.
▶ 피크엔드 법칙
    - 인간의 경험은 전체 평균이나 합계가 아니라, 절정의 순간과 마지막 순간에 느낀 감정을 바탕으로 경험을 판단하는 경향이 있다.
▶ 심미적 사용성 효과
    - 보기 좋은 디자인을 사용성이 더  뛰어난 디자인으로 인식한다.
▶ 폰 레스토프 효과
    - 비슷한 사물이 여러 개 있으면 그중에서 가장 차이가 나는 한 가지만 기억할 가능성이 크다.
▶ 테슬러의 법칙
    - 모든 시스템에는 더 줄일 수 없는 일정 수준의 복잡성이 존재한다.
▶ 도허티 임계
    - 컴퓨터와 사용자가 서로를 기다리지 않아도 되는 속도(0.4초 이하)로 인터랙션하면 생산성이 급격히 높아진다.
*참고 링크

https://yozm.wishket.com/magazine/detail/763/

 

디자이너가 알아야 할 10가지 심리학 법칙 (上) | 요즘IT

저는 심리학을 전공했습니다. 디자인을 하기 위해 전공을 선택한 건 아니지만, 디자인을 할 때 심리학에 대해 얕게나마 학습한 지식이 도움이 될 때가 있습니다. 최근에는 디자인에서 사용성에

yozm.wishket.com

https://yozm.wishket.com/magazine/detail/767/

 

디자이너가 알아야 할 10가지 심리학 법칙 (下) | 요즘IT

인스타그램을 보고 힘들게 찾아간 식당을 나오면서 “여기 다시는 안 올 거야”라고 생각한 적이 있으신가요? 사용성을 고려한 디자인에서 중요한 건 ‘투입한 수고에 비교해서 얻은 가치’입

yozm.wishket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