디자인 카타 내용 공유 #2
채널 중심보다 콘텐츠 중심을 선택
▶ TV라는 제품의 용도에 맞는 정보 제공
TV라는 제품의 용도는 본디 사용자에게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 이기에 전원을 킨 후에 바로 보이는
컨텐츠를 한눈에 정리하는 것이 사용자에게 더 나은 경험을 제공함
▶ 현재 가장 중요한 소식을 직관적으로 보여줌
빠른 정보제공으로 현재 중요한 소식인 스포츠 뉴스 등을 직관적으로 사용자에게 보여주어 채널이 직접적으로
더 나은 경험을 제공함
▶ 섹션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중요도에 따라 사용자의 여정이 예측 가능함
각각의 OTT 프로그램에서 내새우는 콘텐츠를 바로 보여주기 때문에 빠르게 정보에 접근하는 경험을 제공함
채팅 내 금칙어 표시는 모달보다 색상/토스트메세지가 더 적합하다 생각한다.
▶ 사용 흐름을 방해하지 않음
모달 방식은 강제로 확인 버튼을 눌러야 진행이 가능해 사용자 경험이 끊길 수 있다.
▶ 시각적 강조 효과
모달은 한 번 창을 닫아버리면 확인하기 어렵지만 색상 기능을 사용하면 지속적으로 피드백을 볼 수 있다.
▶ UX친화적
사용자의 불필요한 클릭을 줄이고 빠르게 목적을 달성하도록 도와준다.
지도 서비스의 길 찾기 UI
선택 A
▶사용자가 필요한 정보를 직관적으로 제공
- 길찾기 서비스에서 가장 중요한 정보(소요 시간, 경로, 요금 등)를 한눈에 확인 가능
- 주요 정보가 텍스트와 아이콘으로 명확하게 정리되어 있어 가독성이 높음
▶지도와 상세 정보를 효과적으로 분리
- 하단 서브 페이지(카드형 UI) 덕분에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단계적으로 탐색할 수 있음
- 지도를 더 크게 보고 싶을 때는 하단 패널을 축소하거나 닫을 수 있어 가변적인 사용이 가능
▶경로의 시각적 강조가 명확함
- 지도에서 주요 경로(지하철 노선, 정거장 등)가 색상과 아이콘으로 잘 표현되어 있어 직관적
- 현재 위치와 목적지까지의 이동 과정이 논리적으로 정리되어 있어 혼동이 적음
▶인터랙션 디자인 측면에서의 유리함
- 정보가 계층적으로 제공되므로,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정보를 탐색할 수 있음
- 한 번에 너무 많은 정보를 제공하지 않아서 인지적 부담이 적음
슬라이더보다 직접입력 방식 채택
1. 정확한 가격 입력이 가능함
⦁ 슬라이더는 범위를 조절할 때 손가락 터치나 마우스로 조작해야 해서 미세한 조절이 어려울 수 있다.
⦁ 직접 입력은 원하는 가격을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어 불필요한 반복 조작이 줄어듦.
2. 숫자 인식이 더 직관적임
⦁ 슬라이더는 시각적으로 범위를 보여주지만, 숫자를 직접 보는 것이 더 직관적으로 이해될 수 있다.
⦁ 특히, 특정 예산이 정해져 있다면, 직접 입력이 더 빠르고 정확하다.
3. UI의 사용 용이성 차이
⦁ 슬라이더는 모바일에서는 손가락으로 조정해야 해서 작은 변화도 어렵게 느껴질 수 있음.
⦁ 직접 입력 방식은 키보드로 바로 입력 가능하므로 빠르게 조정 가능함.